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미소를 위해 늘 노력하는 울산BS 치과입니다.

오늘은 설측 치료 방법중 STb 브라켓에 대해서 설명 드릴까 합니다.

 

STB 브라켓의 모습입니다.

STb 브라켓은 이탈리아의 Dr. Scuzzo 와 일본의 Dr. Takemoto가 함께 디자인한 브라켓입니다.

그래서 Scuzzo Takemoto Bracket의 줄임말인 STb로 불려지고 있지요

설측브라켓의 경우 그 크기가 커서 발음이나 불편감이 큰 편입니다.

이것을 해결하고 최근의 교정 트렌드인 light force (교정치료시 약한 힘을 사용하는 방법)를 강조하기 위해서

STb라는 것이 개발이 되었습니다.

 이 STb 이전에는 Kurz의 7세대 설측 브라켓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Kruz의 사망이후 특별한 개선이 되지 않았고

Kurz 브라켓의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해 Dr. Scuzzo와 Takemoto가 기존 브라켓보다 작게 만들어서 발표하였습니다.


 사용할수 있는 와이어가 작은편이라 초기 버전에는 문제점이 많았지만, 최근에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제작 공장도

일본 현지 생산에서 미국 생산으로 바뀌면서 브라켓의 퀄리티도 많이 향상이 된 상태입니다.


 발음이나 불편감이 작으나 치아의 정밀한 조절을 위한 굵은 철사를 사용하기가 힘들어서 아직은 이를 뽑지 않는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점점 이를 뽑고 치료하는 경우의 치료결과도 발표되고 있는 중입니다.

 

 제가 써본 봐로는 치료 마무리 단계에서 결찰만 조심한다면 상당히 장점이 많은 브라켓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찰한 후의 STb 브라켓입니다. 발음 문제가 적게 발생해서 말을 많이 하면서 설측 장치를 사용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릴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이 동반된다면 설측치료의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STb 브라켓의 치료 결과예시, 상당히 짧은 시간에 치아의 배열이 해결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번에 Dr. Takemoto를 만났는데. 요즘은 STb 이후의 새로운 브라켓을 개발하고 있더군요

 역시 바쁜 양반입니다. Dr. Scuzzo도 예전에 한국 왔을때 만났는데 둘다 비슷한거 같네요, 열심히 하는 분이라는 거네요

 저희 울산BS 치과에서도 이러한 STb 브라켓및 인코그니토, 인비절라인, Kruz, 후지타, 2D등의 설측교정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