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십니까


아름다운 미소를 위해  노력하는 울산BS치과입니다. 


오늘 말씀 드릴 내용은 왜 부정교합이 심해지는가 입니다. 


부정교합은 여러가지 원인과 양상이 있기 때문에 특정 지어서 어떤 이유로 심해지거나 나빠지는지에 대해서는 설명드리기 힘듭니다. 

하지만 크게 몇가지로 나누어 설명 드릴수는 있을듯 합니다. 


1. 골격의 성장에 의해서

 골격적 부조화 (주걱턱, 무턱)등의 원인으로 부정교합이 발생하였다면, 그리고 부정교합이 발생한 대상이 성장기라면 턱이 자라는 속도에 따라서 부정교합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성장기 환자이면서 교정 전문 치과에서 성장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고 그냥 둔다면 대부분의 경우 부정교합의 양상이 심해지는 쪽으로 진행이 됩니다. 

 교정 전문 치과에서 성장 치료를 시행하고 성장을 관찰하면 많은 경우 양호한 성장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2. 치아의 배열 공간 부족

 흔히 총생이라고 부르는 크라우딩 환자의 경우 치아가 배열될 공간이 없어서 울퉁불퉁 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성장보다는 치아를 사용할때마다 치아에 가해지는 힘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해 치아 배열이 안좋은 곳은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역시도 그냥 두면 둘수록 더 심해지고, 더 진행되면 양치질이 잘 안되서 잇몸질환, 충치등에 이환되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에 대부분의 치료에서 이를 뽑는 발치 치료를 동반하고 치아를 고른 힘이 분산되도록 배열하면 많이 양호해 집니다. 


3. 치아사이의 공간

 이런 경우는 치아가 배열될 공간보다 뼈가 더 큰경우인데요, 성장이 남아 있다면 공간이 더 벌어지기도 하고, 특정 치아가 빠져서 공간이 생긴경우라면 치아의 배열이 무너지면서 부정교합이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적절한 보철 치료나 교정 치료를 받으시는것이 부정교합을 예방하는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우리 사람은 항상성이라는 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아무런 움직임이 없더라도 우리 몸 내부에서는 많은 활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뼈 역시도 매일 매일 새로운뼈가 생기고, 흡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생리작용 때문에 뼈와 관련된 부정교합이나, 치아역시도 조금씩의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단기간으로는 큰 변화가 없을지 몰라도 6개월 1년 단위로 체크해보면 조금씩 눈에 띄는 변화가 관찰되기도 합니다.  

 아쉽게도 그 변화의 대부분이 좋지 않은 양상으로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인의 치아 관리를 위해서라면 6개월 단위로 치과를 방문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특히 부정교합에 관해서라면 치과 교정과 전문 병원을 찾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